본문으로 바로가기

우리말이 아닌 일본말인 것들

category 시사&상식 2017. 10. 16. 17:56


와꾸



테두리나 틀을 뜻하는 와꾸(わく)는 최근 젊은이들 사이에서 '외모'를 뜻하는 비속어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원래는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던 단어였다고 하네요

우리 말로 순환함면 “틀”







뽀록


특히 젊은 층을 위주로 많이 사용되는 '뽀록났다'는 표현 역시 일제의 잔재.   

허술하다는 뜻을 가진 일본어 '보로(ぼろ)'에서 파생된 만큼, '들통나다'로 고쳐 쓰는 것이 좋다.




모찌

모찌(もち)는 찹쌀로 만든 떡을 뜻한다.

'찹쌀떡'으로 간단하게 순화할 수 있다.






삐까뻔쩍

반짝반짝을 뜻하는 일본어 '삐까삐까(ぴかぴか)와 우리말 번쩍번쩍이 합쳐진 근본 없는 단어다.

'삐까'를 빼고 '번쩍번쩍'이나 '반짝반짝' 정도로 사용하면 된다.





땡땡이


'땡땡이 무늬 셔츠'에서 많이 봤을 법한 이 단어는 일본어 '텐텐(てんてん)'을 우리 식으로 읽은 것이다.


'물방울'로 순화.








노가다



대표적인 일본어이지만 여전히 많이 통용되는 단어다.

건설 현장의 고된 노동을 일컫는 이 단어는 '막노동'이나 '막일'로 쓸수 있다

일본말이고 건설노동자를 낮추어 부르는 말입니다.
우리말로도 충분히 표현이 가능하고 굳이 감정이 좋지 않은 일본말까지 쓸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현장에서도 일본말을 쓰지않으려고 노력하고 있고 많이 개선 되었습니다.






무대포



'무대포' 혹은 '무대뽀'로 많이 쓰이는 이 단어 역시 일제의 잔재다.
무모함을 뜻하는 일본어 '무텟뽀(むてっぽう)'에서 나온 말.



'무모'나 '막무가내'로 순화해 사용하도록 하자.




땡깡부리다




땡깡부리다의 '땡깡'은 일본어 '덴캉(てんかん)'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간질병이라는 의미를 담은 덴캉은 일제에 복종하지 않는 우리 조상들을 비하할 때 사용됐다고.


'생떼 부리다' 정도로 바꿔 쓸 수 있다.




왔다리 갔다리



'왔다리 갔다리'는 일본말 '있다리(行) 기다리(來)'를 교묘하게 동사만 우리말로 바꾸고, 일본말 접속 조사 '-다리'의 '-리'를 '왔다 갔다'에 접목한 말이다.

일본어도 우리말도 아닌 근본 없는 표현이므로 '왔다 갔다'로 순화해야 한다.




























































data-matched-content-rows-num="3" data-matched-content-columns-num="4" data-matched-content-ui-type="image_card_stac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