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대립군 영화개봉예정작5.31

category 영화&연극&뮤지컬&공연 2017. 5. 17. 14:24







예고편

http://naver.me/xqSA6WEN


줄거리
1592년 임진왜란, 선조는 어린 광해에게 조선을 맡기고 명나라로 피란한다 의병을 모으기 위해 강계로 떠나는 광해와 분조 일행은 먹고 살기위해 남의 군역을 대신 치르는 대립군들의 호위를 받는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적의 공격에 조선의 왕을 잡으려는 일본군의 추격까지 더해지고 위기를 감지한 대립군의 수장 토우는 곡수를 비롯한 대립군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광해와 함께하기로 한다 생사를 오가는 고난 속에서 운명을 함께하게 된 광해와 대립군 누군가를 대신하는 자신들의 처지가 서로 닮았음을 느낀다 그러나, 참혹한 전쟁으로 인해 분조와 대립군 내부에서는 분열이 일어나는데






조선의 제15대 왕(재위 1608~1623). 임진왜란 이후 부국강병의 기틀을 다졌다. 하지만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다.


조선왕조 제15대 왕으로 재위기간은 1608년에서 1623년까지이다. 이름은 이혼(李琿), 본관은 전주, 선조(宣祖)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공빈 김씨(恭嬪金氏)이며 비(妃)는 판윤 유자신(柳自新)의 딸이다.
세자 책봉 문제로 임해군과 갈등을 빚었으나 1592년 임진왜란이 발생하였을 때 국난에 대비한다는 명분으로 피난지 평양에서 세자에 책봉되었다. 선조와 함께 의주로 피난을 가다가 영변(寧邊)에서 갈라졌다. 선조는 의주로 향하고 광해군은 권섭국사(權攝國事)의 직위를 맡아 분조(分朝)의 책임자로 평안도 지역으로 출발하였다. 임진왜란 기간 중에 평안도·강원도·황해도 등지를 돌면서 민심을 수습하고 왜군에 대항하기 위한 군사를 모집하는 등 적극적인 분조활동을 전개하였다. 서울을 수복한 후 무군사(撫軍司)의 업무를 담당하여 수도 방위에도 힘을 기울였다. 1597년 정유재란(임진왜란 중 왜군의 2차 침략을 따로 부르는 말)이 일어났을 때는 전라·경상도로 내려가 군사들을 독려하고 군량과 병기 조달은 물론 백성들의 안위를 돌보는 등 임진왜란 기간 동안 국가 안위를 위해 노력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선조가 영창대군을 세자로 책봉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자 임진왜란 동안 많은 공을 세운 광해군이 대북파의 지지를 받아 1608년 왕위에 올랐다.
광해군은 왕위에 오르는 과정에서 갈등을 빚은 영창대군(永昌大君)을 1613년 대북파의 강력한 요청에 따라 서인(庶人)으로 삼았고, 영창대군은 강화에 위리안치되었다가 이듬해 살해당하였다. 1618년에는 이이첨(李爾瞻) 등의 폐모론에 따라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서궁(西宮)에 유폐시켰다. 이러한 정치 행위는 서인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서인 주도의 반정(反正)에 의해 폐위당하였다.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의해 폐위되기 전까지 1608년 선혜청(宣惠廳)을 두어 경기도에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고, 1611년 양전(量田)을 실시하였다. 임진왜란으로 폐허가 된 한성부의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창덕궁을 중건, 경덕궁(경희궁)·인경궁을 준공하는 등 궁궐 조성에 힘썼다.
이때 만주에서는 여진족이 신흥국가로 성장하여 후금(後金)을 건국하고 조선에 압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광해군은 이에 대비하여 성지(城池)와 병기(兵器)를 수리하고 군사 양성하는 등 국경방비(國境防備)에 힘썼다. 명(明)나라와 후금(後金) 사이에 전쟁이 발생하여 명에서 원군요청이 있자 강홍립(姜弘立)에게 1만의 병사를 주어 파견함과 동시에 의도적으로 후금에 투항하게 하여 명과 후금사이에서 능란한 중립외교솜씨를 보였다. 일본과는 기유약조(己酉約條)를 체결하여 임진왜란 이후 중단되었던 외교를 재개하고, 회답겸쇄환사로 오윤겸(吳允謙)을 일본에 파견하여 포로로 끌려갔던 조선인을 쇄환하였다.
서적의 간행에도 힘을 기울여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동국신속삼강행실(東國新續三綱行實)》 등을 다시 간행하고 《국조보감(國朝寶鑑)》·《선조실록(宣祖實錄)》 등을 편찬하였으며, 적상산성(赤裳山城)에 사고(史庫)를 설치하였다.
서인이 주동하여 일으킨 인조반정으로 1623년 폐위되어 강화도에 유배되었다가 제주도로 옮겨졌다. 광해군은 왕권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영창대군과 임해군을 제거하고 인목대비를 유폐시켰다. 과거 태종과 세조에 비하면 광해군의 이런 과(過) 때문에 폭군으로 몰아간 측면은 지나침이 있으며 당시 서인과 북인 사이에 벌어진 정치적 이념의 갈등, 즉 붕당(朋黨)의 소용돌이 속에서 희생되었다. 광해군 가족은 강화도로 유폐되었는데 폐세자 이질과 세자빈은 강화 서문 쪽에 안치되었고 광해군과 폐비 유씨는 동문 쪽에 안치되었다. 폐세자는 강화에서 탈출을 시도하다 사약을 받고 죽었으며 세자빈은 자결하였다. 이듬해인 1624년 폐비 유씨도 사망하였고 광해군은 이후 제주도로 이배되었다가 1641년에 사망하였다. 묘호는 광해군지묘(光海君之墓)로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다.




data-matched-content-rows-num="3" data-matched-content-columns-num="4" data-matched-content-ui-type="image_card_stac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