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 합성 CDO·주택담보 2차 대출 등 금융위기 주범 상품들 다시 활개
월가 "신흥국 채권 고평가" 경고

* 미국, 부채한도 높이는 방안 추진
ECB는 자산매입 확대 조짐

*돈줄죄기' 예고했던 옐런·드라기
잭슨홀 미팅서 통화긴축 언급 안해

**글로벌 금융시장 곳곳에서 위험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주범인 합성 부채담보부증권(CDO) 등 복잡한 구조화 상품이 다시 활개치고 있다. 저금리 장기화로 수익에 목마른 보험사와 자산운용사 등의 자금이 몰리면서다. 신흥국, 선진국 할 것 없이 채권시장에 또 다른 거품이 끼고 있다는 지적.

                                                  금융위기 주범의 귀환

세계적으로 저금리가 지속되자 CDO와 주택담보 2차 대출(홈에쿼티론) 시장이 커지고 있다. 국채 수익률보다 높은 수익을 쫓는 기관투자가들이 여러 겹의 레버리지(차입)로 이 같은 상품에 손을 대고 있다.


""금융자산 과잉''의 상징인 합성 CDO 거래는 금융위기 이후 급감했다가 유럽을 중심으로 늘어났다. 지난해 4분기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한 데 이어 올 1분기 5.6% 많아졌다.

 신용부도스와프(CDS)를 담보로 유동화한 합성 CDO는 금융위기 당시 주택담보대출 시장의 위험을 확산하는 수단으로 작용했다.


최근 미국에서는 집값이 오르자 홈에쿼티론이 2008년 이후 최대치로 급증했다. 홈에쿼티론은 기존 주택담보대출(모기지)을 제외하고 주택의 순가치를 담보로 한 2차 대출이다. 

올 2분기 홈에쿼티론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8% 증가한 460억달러에 달했다. 새로운 모기지로 갈아타는 리파이낸싱 역시 6% 늘어난 150억달러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인상할수록 대출이자 부담이 늘어나 주택을 팔아도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하는 ‘깡통주택’이 속출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많다.




                                               신흥국 자산거품에 경고음



신흥국 채권에도 자금이 몰리면서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지난 6월 정크등급(투자 부적격) 최초로 발행된 100년 만기 채권(아르헨티나 국채)은 글로벌 수요가 대거 몰려 당초 계획보다 쿠폰이자를 낮췄을 정도다. 이달 초 이라크가 수십 년 만에 발행한 국채도 불티나게 팔렸다.

중국이 발행한 국채 규모는 2007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150% 수준에서 지난해 280%로 급증했다. 브라질 콜롬비아 페루 등 남미 국가와 인도네시아 인도 러시아 등 아시아 신흥국까지 줄줄이 기준금리를 내리며 경기 부양 드라이브를 걸었다. 시중자금이 늘어나면 그만큼 금융자산으로 돈이 쏠릴 수 있다.

‘채권왕’으로 불리는 제프리 건들락 더블라인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이달 들어 위험자산이 너무 고평가됐다”며 “서서히 출구 쪽을 향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data-matched-content-rows-num="3" data-matched-content-columns-num="4" data-matched-content-ui-type="image_card_stacked"

--